IT

Ubuntu 쿼터스 설치 하다가 쓰는 것들 정리

라이꼬끼 2018. 8. 26. 03:03

내 우분투는, 18.04.1 LTS, 가상머신 virtualbox로 돌린다, Macbook air에서.


▶ 권한/소유권

chmod 퍼미션 주는것(권한)

chown user:group [file/dir] 유저:그룹 소유권

chown :group [file/dir] 그룹 소유권

chgrp group [file/dir] 그룹 소유권



▶ 터미널 단축키

ctrl+shift+c/v 복사/붙여넣기

ctrl+alt+t 새 창 열기

ctrl+shift+t 새 탭 열기

ctrl+shift+w 창 닫기



▶ 환경변수(environment variable) 설정 (영구적 방법-permanent)

1. 환경설정 파일 열고 비밀번호 입력

sudo -H gedit /etc/environment


2. 바꾸고 Save

형식 : 변수명="경로"


ex)

PATH="/home/hyunjoo/intelFPGA/16.1/hld/bin:/usr/local/sbin:/usr/local/bin:/usr/sbin:/usr/bin:/sbin:/bin:/usr/games:/usr/local/games"

INTELFPGAOCLSDKROOT=/home/hyunjoo/intelFPGA/16.1/hld



*/etc/environment 파일은 스크립트 파일이 아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다른 환경변수를 이용하여 환경변수를 표현할 수 없다.

PATH="$INTELFPGAOCLSDKROOT/bin:/usr/local/sbin:/usr/local/bin:/usr/sbin:/usr/bin:/sbin:/bin:/usr/games:/usr/local/games" <-작동되지 않는 표현!!


*PATH에는 따옴표가 있는데 혹시몰라서 그냥 안건드렸음. 왜인지 알면 나중에 여기다 적기 >.o

내가 새로 추가한 변수에는 따옴표 안써도 됨


*Save할 때 다음과 같은 warning은 무시

Set document metadata failed: Setting attribute metadata::gedit-encoding not supported


3. 로그아웃, 로그인


4. echo로 환경변수 잘 됐나 확인

ex) path변수 확인할 때 : echo $path


그런데 언더바가 들어간 환경변수는 /etc/environment 파일에서 만들 경우에 echo 동작이 안된다. shell에서 문제가 있을거라고 판단, 다른 방법을 찾아보았다.



▶ 언더바 _(underscore)가 들어간 환경변수(environment variable) 설정 (For one user)

대신에 지금 쓰고있는 유저만 사용할 수 있다.

1. ~/.profile 파일에 다음과 같이 적고 save


형식 1. 변수명에 경로 하나만 있을 때

export 변수명="경로"


형식 2. 변수명에 경로 여러개일 때

export 변수명="경로":$변수명


ex)

export ALTERAOCLSDKROOT="/home/hyunjoo/intelFPGA/16.1/hld"

export QSYS_ROOTDIR="/home/hyunjoo/intelFPGA/16.1/quartus/sopc_builder/bin"

export LD_LIBRARY_PATH="$ALTERAOCLSDKROOT/host/linux64/lib":$LD_LIBRARY_PATH

export LD_LIBRARY_PATH="$AOCL_BOARD_PACKAGE_ROOT/linux64/lib":$LD_LIBRARY_PATH


2. 로그아웃, 로그인


3. echo로 환경변수 잘 됐나 확인

echo $JAVA_HOME


이거 안될 때도 있는거 같아서 하나 더 적음

~/.bashrc 에 위와 동일하게 적고 로그인 다시 하면 됨



▶ libpng12.so.0 오류

quartus: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 libpng12.so.0: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이런거 뜨길래 찾아봤더니 우분투가 png 라이브러리를 기본 설치 안하는것

https://packages.ubuntu.com/xenial/amd64/libpng12-0/download

여기서 주황색으로 된 security.ubuntu.com/ubuntu 타고 파일 다운받으면 된다.



▶ canberra-gtk-module 오류

Gtk-Message: 22:51:01.473: Failed to load module "canberra-gtk-module"

sudo apt-get install libcanberra-gtk-module

이거

sudo apt-get install libcanberra-gtk-module

하면 해결된다.



▶ CXXABI 오류

/opt/intelFPGA/16.1/quartus/linux64/libstdc++.so.6: version `CXXABI_1.3.9' not found (required by /usr/lib/x86_64-linux-gnu/libproxy.so.1)

Failed to load module: /usr/lib/x86_64-linux-gnu/gio/modules/libgiolibproxy.so


(quartus:2530): Gtk-WARNING **: 23:16:49.542: Error loading theme icon 'window-close' for stock: Unable to load image-loading module: /usr/lib/x86_64-linux-gnu/gdk-pixbuf-2.0/2.10.0/loaders/libpixbufloader-svg.so: /opt/intelFPGA/16.1/quartus/linux64/libstdc++.so.6: version `CXXABI_1.3.8' not found (required by /usr/lib/x86_64-linux-gnu/libicuuc.so.60)


위와 같은 에러가 떴고 다음을 통해 해결.

cd /opt/intelFPGA/16.1/quartus/linux64 (쿼터스 설치경로 안에 linux64폴더 들어감)
sudo mv libstdc++.so.6 libstdc++.so.6.quartus_distrib (그안에 있는 libstdc++가 하도 오래된거라 이걸 대충 다른이름으로 변경)
sudo ln -s /usr/lib/x86_64-linux-gnu/libstdc++.so.6 libstdc++.so.6 (내가 가지고있는 최신 libstdc++로 덮어씌움)



▶ emulator Make 시에 libacl_emulator_kernel_rt.so 경고

/usr/bin/arm-linux-gnueabihf-ld: warning: libacl_emulator_kernel_rt.so, needed by /opt/intelFPGA/16.1/hld/board/terasic/de1soc/arm32/lib/libalteracl.so, not found (try using -rpath or -rpath-link)


Makefile 수정

AOCL_LINK_CONFIG := $(shell aocl link-config --arm) -lacl_emulator_kernel_rt


개암걸리는 사실은 de1soc 폴더에는 linux64 폴더가 없고 arm32 폴더만 있다는것... makefile하면 32bit포맷의 실행파일이 만들어진다는것.. 아예 64비트 에뮬 지원을 하지 않는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마이컴으로 보드에서 Root 접속이 안되는데 Putty에서는 된다.. 윈도우 깔고 함. source ./init_source.sh 이거 하는데 로딩이 안되는 경우는 보드 바닥에 스위치 01010로 세팅 안해둬서 그런거다. 나는 반대인줄알고 10101로 되어있어서 반대로 하니까 잘됨 ㅎㅎ.. 이런걸로 삽질이라니 ㅠㅠ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OS Mojave  (0) 2018.12.07
Installing OpenCV3 in Ubuntu 18.04  (0) 2018.10.25
Ubuntu에 OpenCV 깔면서 몇가지 정리  (0) 2018.09.02
VirtualBox for using Windows on Mac  (0) 2018.07.08
Visual Studio 단축키  (0) 2017.03.22